Folding plate

구조는 형태에 따라서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같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성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면 무엇을 선택하게 될까. 아마도 누구나 성능이 좋은 형태를 선호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우리 사회는 어떨까? 같은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면 더 나은 능력을 가진 인재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인재를 등용할 때 오랜기간에 걸쳐서 만들어진  예측 가능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면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서 각자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주는 합리적인 사회로 발전한 다면 더 할 나위가 없다. 우리사회의 이면은 어떤가. 나만 또는 우리만 편한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다. 혈연, 지연, 학연의 삼연속에서 서서히 인재를 선발하는 시스템이 매몰되어가고 인재등용의 정석들이 이제는 옛날 이야기처럼 들린다. 세상에 부조리한 일들이 생기지 않겠나. 그러나 부조리한 일들이 세상밖으로 밝혀져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회가 되면 희망은 없다.

구조에 이러한 문제가 생기면 어떨까? 십중팔구 구조는 안전에 문제가 생기고 붕괴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질 것이다.

사회도 별반 다르지 않다. 매몰되어가는 시스템에 신중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문제는 사회를 점점 더 병들어 가게 한다. 소수의 사람들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가꾸어온 시스템에 금이가고 이를 머리위에 이고 살게 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구조는 늘 가해지는 힘과 저항하는 내력의 평형에 관련한 내용을 다룬다.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과하게 가해지고 있는 힘을 경감하거나 어떤 때에는 재료를 추가로 투입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때 그때 필요한 부분을 땜질식으로 처리하다 보면 문제는 전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단순한 문제 일 수도 있지만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볼 수 없다면 구조는 건전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훌륭한 엔지니어를 기르기 위해서는 훌륭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사회도 별반 다르지 않다.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면 답은 그리 멀리 있지 않다.

그림에서 처럼 판을 접거나 전개할 때 필요한 형태를 정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왜 그렇게 결정하게 되었는지를 말해주는 과정과 과학이 시스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데 있어 훨씬 더 중요하다.

현재를 열심히 살면 미래가 그냥 열리는 사회적 시스템이 구조와 같다.

 

Leave a Reply